“한국 입국하려면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필수인데 미국 공항에서 검사를 받으면 1인 250달러였습니다. 가족 4명이 받으면 1000달러(100만 원)이예요.”
최근 미국 여행을 다녀온 김모씨(35)는 “시내 곳곳을 뒤져 겨우 가격을 싼 곳을 찾았지만 PCR 결과가 나오는데 시간이 한참 걸렸다”면서 “우리나라는 왜 입국 시 PCR 검사만 고집하는지 모르겠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25일 방역 당국과 여행업계 등에 따르면 오미크론 유행 이후 각 국이 빗장을 풀며 무(無)격리로 입국 가능한 국가가 늘어나고, 우리나라도 지난달 21일부터 해외입국자에 대한 자가격리 면제 조치를 시행하면서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하지만 해외입국자 격리 면제 조치가 백신을 3차까지 맞은 사람으로 한정되는 것과 1인당 10만 원이 훌쩍 넘는 PCR 검사 비용이 여행객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는 분위기다.
여행과 관련된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미국·유럽 등에서 신속항원검사는 25~50달러 수준이지만 PCR 검사는 이보다 4배 비싼 100~200달러다. 미국·이탈리아·프랑스·독일 등은 입국 72시간 전 실시한 PCR 검사 또는 입국 48시간 전 신속항원검사 음성 결과를 모두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방역 당국은 출발일 0시 기준 48시간 이내 실시한 PCR 검사만 인정하며 항원·항체 검사 결과는 일절 인정하지 않고 있다. 해외입국자는 입국 전과 입국 1일차에 PCR 검사를 받고 입국 6∼7일차에는 신속항원검사를 받아야 한다. 6월부터는 입국 후에는 PCR 검사 1회만 받으면 된다.
이에 대해 커뮤니티 중심으로 ‘국내도 신속항원검사로 양성이 나오면 확진으로 판정하는데 해외입국자들에게는 10만 원 넘는 PCR 검사를 강제하는 게 형평성에 맞지 않다’, ‘미국·유럽은 백신 접종 증명서만 있으면 PCR·신속항원검사 음성 확인서를 요구하지 않는 곳도 많다’, ‘적어도 100달러 이상의 비용이 드는 PCR 대신 25달러짜리 신속항원검사 결과를 인정해 달라’는 불만이 나온다.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도 “자국민에 대한 해외 입국 전 PCR 검사를 중단해 달라”는 글이 게시되며 1881명의 동의를 얻었다. 글쓴이는 “5월 중순 코로나19가 1급에서 2급 전염병으로 변경되며 격리 의무 해제 등 진정한 엔데믹을 앞두고 있는데 해외입국자에 대한 PCR 검사를 지속하는 것은 실효성이 없어 보인다”면서 “입국 전 PCR 검사를 대한민국 국적자에 한해서도 폐지하고 입국 후 1회 PCR 검사로 변경될 수 있도록 검토해 달라”고 했다.
부천시,부천동,소사동,소사본동,범박동,역곡동,옥길동,괴안동,춘의동,항동,원미동,여월동,성곡동,원종동,고강동,대장동,삼정동,심곡동,심곡본동,중동,상동,송내동,계수동,부평,삼산동,갈산동,부개동,산곡동,부평동,십정동,청천동,시흥시,신천동,은행동,계수동,과림동,무지내동,목감동,산현동,능곡동,장현동,장곡동,하중동,하상동,월곶동,광석동,물왕동,도창동,미산동,방산동,포동,정왕동,배곧동,거모동,군자동,죽율동